경제용어사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과자 봉지 등의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폐기물을 무산소 상태에서 300~500℃의 고열로 가열해서 만든 기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서 폴리프로필렌(PP)이나 납사(naphta) 등을 추출해 새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을 소각하지 않고 다시 원료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매우 크다. 플라스틱 원료를 일반 원유에서 열분해유로 대체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배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까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포함된 염소 등 불순물 문제로 친환경 플라스틱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정유 공정에 열분해유 투입이 불가능한 규제도 있었다. 그런데 불순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공정이 개발되고, 최근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석유화학 공정에 열분해유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열분해유를 활용한 플라스틱 제조의 길이 열렸다.

관련어

  • 플루미스트[Live Attenuated Influenza Vaccine, FluMist]

    플루미스트는 미국 바이오기업 메디뮨이 개발한 비강분무형 인플루엔자 백신이다. 200...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과자 봉지 등의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폐기물을 무산소 상태에서 ...

  • 피싱[Phishing]

    개인정보 (private data)와 낚시(fishing)를 합성한 용어로, 불특정 다수에...

  • 패스포팅[Passporting]

    금융기관이 EU 국가 중 한 곳에서 설립 인가를 받으면 다른 모든 회원국에서 별도 인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