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과자 봉지 등의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폐기물을 무산소 상태에서 300~500℃의 고열로 가열해서 만든 기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서 폴리프로필렌(PP)이나 납사(naphta) 등을 추출해 새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을 소각하지 않고 다시 원료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매우 크다. 플라스틱 원료를 일반 원유에서 열분해유로 대체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배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까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포함된 염소 등 불순물 문제로 친환경 플라스틱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정유 공정에 열분해유 투입이 불가능한 규제도 있었다. 그런데 불순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공정이 개발되고, 최근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석유화학 공정에 열분해유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열분해유를 활용한 플라스틱 제조의 길이 열렸다.

관련어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emiconductor Sector Index, SOX]

    미국 동부의 필라델피아 증권거래소가 지난 1993년 12월부터 산정, 발표해 온 "반도체업...

  • 풋백옵션[put-back option]

    주식이나 실물 등 자산을 인수한 투자자들이 일정한 가격에 되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계...

  • 프리터[freeter]

    영어의 `자유로움''을 뜻하는 프리(free)와 독어의 ''노동자''를 뜻하는 ''아르바...

  • 피크 오일[peak oil]

    석유 생산이 최고점에 이른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말한다. 석유생산 정점이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