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전자 편집 농작물

[gene-edited crops]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한 생물체 안에서 특정 DNA를 강화하거나 제거하는 식으로 개량한 작물이다.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를 삽입해 새로운 종을 창조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는 다르다. 외부 요인이 개입하지 않으면서 GMO를 대체할 수 있는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프랑스 화학자 에마누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교수와 와 미국의 제니터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대 교수가 2012년 개발한 유전체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 캐스9 유전자 가위’ 기술이 공개되자 유전자 편집 농작물 연구도 급물살을 탔다. 둘은 이 기술을 통해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세계 곳곳에서 과학자들이 오메가3를 함유한 감자, 마름병에 걸리지 않는 농작물 등을 양산하는 연구에 돌입했다. 품종이 개량돼도 상용화 과정이 고단했다.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기술이라 안정성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서였다.

미국 농무부가 선도적으로 유전자 편집 농작물 관련 규제를 철폐했다. 2016년 미국 농무부는 세계 최초로 유전자 편집 농작물을 규제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2018년 유전자 편집 농작물을 GMO와 똑같이 규제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영국은 2020년 EU를 탈퇴하는 ‘브렉시트’를 단행해 독자적으로 규제를 완화할 수 있게 됐다. 이후 2022년 5월 22일 영국 정부는 유전자 편집 농작물 재배를 허용하는 법안을 의회에 상정해 2주 내로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2023년부터 유전자 편집 농작물을 전국 소매점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 유럽통화기구[European Monetary Institute, EMI]

    유럽경제통화동맹(EMU)을 출범시키기 위한 3단계 과정중 2단계 조치의 일환으로 1994년...

  • 임금피크제[salary peak system]

    일정 연령에 이른 근로자의 임금을 깎는 대신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로 워크셰어링(w...

  •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 rate, FFR]

    미국 은행간 자금거래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단기금리로서 우리나라의 콜금리에 해당된다. 미국 ...

  • 인공 광합성

    광촉매, 태양전지 등을 활용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