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양도담보

 

채무자가 채무보증의 한 방법으로 채권자에게 담보물의 소유권을 이전해주는 것을 말한다. 민법이 규정하는 제도는 아니지만 담보로 하려는 물건의 소유권을 채권자에게 옮겨주고 일정한 기간 내에 돈을 갚으면 소유권을 다시 되돌려받는 방법이다. 소유권을 완전히 넘긴다는 점에서 가등기와는 다르다. 과거에는 이것을 일종의 탈법행위로 간주했으나 지금은 판례를 통해 양도담보의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다. 양도담보는 당사자가 담보라는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 그 목적을 초과하는 권리양도의 형식을 취하는 법률행위로 설명된다.

양도담보는 2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돈을 빌리는 사람이 자기의 소유물을 채권자에게 팔고 소유권을 완전히 채권자에게 옮긴 후 임차료를 지급하고 계속 사용하는 경우다. 일정한 기간 내에 매매대금을 지급하면 목적물을 돌려받게 된다. 이를 매도담보 또는 매도저당이라고도 한다. 다른 하나는 돈을 빌리는, 이른바 소비대차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무의 담보를 위하여 돈을 빌리는 사람이 그 소유권을 빌려주는 사람에게 이전하고 빌린 사람은 목적물을 사용하면서 일정한 기간 내에 대금을 지급하면 소유권을 반환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좁은 의미의 양도담보 또는 양도저당이라고 한다.

  • 영구적 불태화 개입[permanent sterilized intervention, PSI]

    핫머니 규제와 함께 들어오는 유입되는 외국자본에 상응하는 해외자산을 사들여 통화 가치의 균...

  • 유니버설보험[universal life insurance]

    보험료의 납입과 적립 및 인출이 자유로운 상품으로 유연성, 유동성, 보장성이 결합된 보험상...

  • 액정수직배열방식[vertical alignment, VA]

    LCD에서 수직을 향하고 있는 액정 입자가 수평 방향으로 전환되며 화면을 표시하는 방식. ...

  • 유연안전성[Flexicurity]

    고용의 유연성(Flexibility)과 안전성(Security)을 조합한 용어. 기업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