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대차
국채금리 상승(국채값 하락)을 노린 투자자들이 국채를 빌려 매각하고, 향후 저렴하게 사들여 되갚아 수익을 거두는 기법이다. 주식의 공매도와 같은 개념이다.
기관투자가는 통상 차익거래 목적으로 국채 대차거래를 활용한다. 고평가된 국채현물을 빌려서 팔고 동시에 저평가된 국채선물을 사들인다. 향후에 빌린 국채를 되갚는 과정에서 무위험 차익거래 이익을 거둔다.
2022년 2월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국채 대차잔액 물량은 102조603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97조6156억원)과 비교해 4조9881억원 늘었다. 사상 최대치인 2022년 1월 21일(103조8875억원)에 근접했다. 한국은행 코로나19로 큰 폭 내린 기준금리를 다시 올린 시점인 2021년 8월 26일(87조7072억원)과 비교해 14조8965억원 불었다.
대차거래 잔액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국채 금리상승에 베팅하는 투자자가 늘었다는 의미다. 국채금리를 밀어올릴 변수로도 꼽힌다.
-
공사
공기업은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부가 소유권을 갖거나 통제권...
-
개량신약[incrementally modified drug, IMD]
오리지널 신약과 성분·약효가 유사하지만, 그 약이 효과를 잘 내도록 하는 데 필요한 물성을...
-
기업 온실가스 배출정보 공개제도
기업이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시킨 온실가스 배출량과 종류 등 정보를 공개토록 하는 제도다...
-
광전도성[photoconductive]
광전도성은 물질이 가시광선과 적외선, 자외선, 감마선 같은 전자기선의 흡수에 의해 전도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