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내총소득

[gross domestic income, GDI]

국내 거주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으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에 실질 무역 손익을 더한 개념.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을 보여주는 소득지표이다. 즉 수출입 가격의 변화로 인해 실질소득 가운데 해외로 유출되었거나 해외에서 유입된 소득을 국내총생산과 합한 것이다.

과거 자동차를 1백대 수출한 돈으로 원유 1백톤을 들여올 수 있었지만 이제는 가격변동으로 자동차 2백대를 수출해야 같은 분량의 원유를 도입할 수 있다면 실질 국내총소득은 자동차 1백대 수출분만큼 감소한 셈이다. 여기서 자동차 2백대는 생산지표인 실질 국내총생산(GDP : gross domestic product)으로 이해하면 된다.

  • 경제적부가가치[economic value added, EVA]

    기업이 벌어들인 영업이익 가운데 세금과 자본비용을 공제한 금액. 즉 투하된 자본과 비용으로...

  • 광랜 서비스[Optical LAN service]

    초고속인터넷보다 최대 10배나 빠른 인터넷 서비스. 광랜은 아파트나 건물등의 구내에 설치된...

  • 공사이행보증서

    공사계약시 계약상대자가 계약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계약상대자를 대신하여 계약상의 의무...

  • 구동존이[求同存異, seek common ground while preserving differences]

    '공통점을 추구하고 차이점은 그대로 둔다'는 뜻으로, 서로 다른 점은 인정하면서 공동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