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계수표

[a household check]

주로 개인이나 자영업자들이 소액결제를 위해 가계당좌예금을 근거로 수표.

기업이 아닌 개인이 발행주체라는 점에서 당좌수표와는 다르다. 또 은행이 발행 및 지급자가 되는 자기앞수표와도 구별된다.

당좌수표는 계좌에 남아 있는 금액을 넘어서도 발행이 가능하지만 가계수표는 개인의 은행계좌에 있는 금액 내에서 발행되는 것이 원칙이다.

수표에 적혀 있는 금액만큼을 소지인이 지급일에 은행에 가서 청구한다는 점에서는 일반수표와 같지만 기본적으로 개인의 신용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수표와는 다르다. 따라서 발행한도도 일반수표에 비해 낮은 것이 보통이다.

가계수표 장당발행한도는 개인의 경우 100만원이며,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500만원이다.

  • 고환율정책

    말 그대로 환율을 높게 유지하는 걸 말한다. 원·달러 환율은 ''1달러당 1000원''의 ...

  • 과불화탄소[PFCs]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온실가스의 한 종류이다. 주로 반도체제조 공정에서 사용된다. 세계반...

  • 공공예금

    일반은행은 지방자치단체와의 금고업무 취급계약에 의해 재산세, 등록세, 주민세 등의 지방세와...

  • 고객만족지수[Kore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KCSI]

    우리나라의 산업별 기업별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한국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