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단백질 식품
[alternative protein food]단백질 식품을 제조할 때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동물성 단백질 원료 대신 식물 추출, 동물 세포 배양, 미생물 발효 방식을 통해 인공적으로 단백질을 만들어 동물성 단백질의 맛과 식감을 구현한 식품을 뜻한다.
영화 ‘설국열차’에서 꼬리 칸에 탄 하층민들은 양갱처럼 생긴 거무튀튀한 단백질 블록으로 식사를 한다. 극 중반 단백질 블록의 원료가 바퀴벌레였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영화 속 주인공은 분노한다.
현실 세계에서는 2009년 비욘드미트가 식물성 대체육 햄버거 패티를 내놓은게 처음이다. 잇저스트는 2017년 녹두를 원료로 만든 달걀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3년 만에 1억 개 이상 판매하기도 했다.
2020년대 들어 소, 돼지 등 가축을 기르는 과정에서 온실가스와 암모니아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다는 우려가 커지자 곤충 등을 활용해 친환경 대체 단백질을 개발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곤충은 친환경 식재료이기도 하다. 소고기와 비교할 때 같은 양의 단백질을 얻는 데 필요한 물은 8분의 1, 사료는 13분의 1 수준이다. 식용 곤충을 기를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양도 소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다만 곤충을 식재료로 쓰는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혐오감이 여전히 크다는 점은 걸림돌이다.
동물 대신 식물과 곤충, 해조류, 미생물 등을 이용해 만드는 대체 단백질 시장은 친환경 바람을 타고 가파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대체 단백질 시장 규모는 2017년 89억8900만달러(약 10조7000억원)에서 2019년 103억4600만달러(약 12조3000억원)로 15.1% 커졌다. 2025년에는 178억5900만달러(약 21조2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
다카[Deferred Action for Childhood Arrivals, DACA]
2012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불법 입국한 부모를 따라 미국에 들어오는 바람에...
-
디지털 엔화[Digital Yen]
일본 중앙은행이 발행검토중인 디지털화폐 (CBDC). 일본은행은 2020년 1월부터...
-
대출백화점
예금 이외의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대출 및 보증 등 각종 여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신 ...
-
데카르트 마케팅[techart marketing]
유명예술가나 디자이너의 작품을 제품에 접목시킴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품격을 높이는 마케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