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헝다그룹

[恒大集団, Evergrande Group]

중국 3위의 부동산 개발 그룹. 1996년 쉬자 인이 광저우시의 회사를 설립, 2009년 11월 5일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시켰다. 부동산 개발, 부동산 투자, 부동산 관리 및 기타 비즈니스 등 부동산 중심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매출은 50조 7천억 원, 당기순이익은 8,075억 원을 기록했다.

1958년생인 헝다그룹의 쉬자인(许家印) 회장은 중국 허난 성(河南省)에서 태어나 맨 주먹으로 창업해서 부동산 업계에서 일가를 이룬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2017년 부동산 경기가 좋았을 때 알리바바의 마윈, 텐센트의 마화텅을 제치고 포브스가 선정한 중국의 부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
2020년 코로나19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공급했던 대규모 유동성이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자 중국 규제당국은 두 차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을 내놨다.
2020년 8월 중국정부는 부동산 기업들에게 절대 넘지 말아야 할 '3개의 레드라인(三道红线)'을 설정했다. 이는 ①선수금을 제외한 자산 부채비율 70% 이상 ②순부채비율 100% 이하 ③현금•단기부채비율 100% 이상의 기준을 준수하라는 것이었다. 당시 헝다그룹은 3가지 기준을 모두 초과했다.

헝다그룹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소유하고 있는 아파트 등의 자산을 빨리 팔아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2020년 12월 31일 중국 금융당국은 주요 은행에 대해 부동산 대출 총액 상한선과 개인 주택담보 대출 비율을 각각 40%, 32.5%로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2020년 말 기준 중국은행의 부동산 대출 비중은 53.9%에 달했다.

이로 인해 헝다그룹은 직격탄을 맞았다. 2021년 들어 9월 중순까지 주가가 80% 정도 하락하였으며 9월 23일 현재 회사 시총은 6조 원 정도이다.
2021년 6월 말 기준 헝다그룹의 총부채는 1조9665억위안(약 359조원)이고 부채 비율(부채/순자산)은 2021년 6월 기준 459%다. 중국 1위 차이나 반크(Vanke)의 부채비율은 137%이나 중국 A 주에 상장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평균 부채 비율은 387%다.

<>헝다 그룹 전망
헝다그룹은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채권이자를 지급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360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이기지 못하고 결국 파산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많다. 중국 정부는 지방정부에 헝다의 파산 후속조치를 준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헝다그룹 주가는 2021년 9월 23일 홍콩증시에서 장중 32%까지 급등하는 등 8거래일 만에 반등하는 데 성공했다. 홍콩 대표 항셍지수도 1.19% 올랐다.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도 상승 마감했다. 헝다 주가의 상승세는 이날로 예정됐던 두 건의 회사채 이자 가운데 위안화표시채권에 대한 이자 2억3200만위안(약 425억원)을 갚겠다고 전날 발표한 데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헝다는 전날 밤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공식 계정을 통해 해당 위안화채권 보유자와 ‘개별 접촉’해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다. 부분 지급 또는 시한 연장 등의 미봉책을 썼을 것이란 추정이 나온다. 또 규모가 더 큰 달러표시채권 이자 8350만달러(약 993억원)에 대해선 아예 언급하지 않았다. 두 채권 모두 공식 채무불이행(디폴트)이 되려면 이자 지급 예정일로부터 30일이 지나야 하기 때문에 의문이 해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선 헝다가 결국 파산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지방정부에 헝다의 재무상황 검토, 헝다의 부동산 사업 매각 준비, 대중의 반응 파악 등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일련의 조치에 대해 중국 정부가 헝다를 구제할 의사가 없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오는 29일에도 다른 달러표시채권의 이자 4750만달러를 지급해야 한다. 위안화표시채권은 중국 내 투자자가 매입한 데 반해 달러표시채권은 홍콩거래소를 통해 글로벌 투자자에게 판매한 경우가 많아 중국 금융당국이 개입하기도 쉽지 않다.

헝다그룹은 2021년 연말까지 이자로만 약 6억7000만달러를 결제해야 한다. 또 은행권 대출 및 회사채 등 이자 부담이 붙어 있는 차입은 5718억위안(약 104조원)이며, 이 중 1년 내에 2400억위안(약 43조원)을 상환해야 한다.

다만 헝다의 사업 규모로 볼 때 중국 경제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헝다는 중국 전역의 280여 개 도시에서 1300여 개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약 25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협력업체는 8000여 개에 달한다. 헝다가 발행한 고금리상품에 투자한 개인도 8만여 명에 이른다. 게다가 본업인 부동산 외에 금융, 전기자동차, 헬스케어, 식음료 등으로 벌여 놓은 사업이 많아 어디서 변수가 튀어나올지 모른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글로벌 시장에 대한 영향
파산위험성이 높다는 관측에 따라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세계 증권시장이 요동쳤다. '리먼 브라 더스'사태 처럼 세계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줄 거란 우려가 확산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IMF 외환위기 및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와는 달리 이번 헝다그룹 사태는 2020년 8월 제정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레버리지 규제 영향"이라며 "리먼사태는 미국 부동산 경기가 하강 싸이클로 접어들면서 금융기관들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확대된 과정에서 발생한 반면 아직 중국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헝다그룹의 부채 비율은 부담스럽다. 그러나 연쇄 부도위험으로 확산되지 않으면 중국 금융시스템 내에서 수용이 가능하다. 헝다그룹 부채는 전체 중국 신용(302조위안, 2021 년 6 월 기준)의 0.65% 정도다. 반면 중국 대손충당금 비율은 전체 대출의 3.4%다.

헝다가 파산한다고 해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불러온 리먼브러더스 파산과 같은 파장이 나타나진 않을 것이란 예상이 많다. 헝다의 차입 가운데 달러표시채권 비중은 23.7%로 200억달러(약 23조5000억원) 안팎이다.

헝다그룹 사태가 무질서한 기업들의 연쇄 도산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어느 선에서 개입할 것인지, 이후 부양정책 기대에 대한 불확실성은 2021년 4분기반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 한국ESG기준원[Korea In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KCGS]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으로 2003년부터 매년 국내 상장회사들의 환경(E), 사회(S)...

  • 혈소판

    적혈구 백혈구와 함께 혈액을 이루는 주요 고형 성분이다. 혈액의 응고와 지혈에 중추적인 역...

  • 흑자도산[insolvency by paper profits]

    영업실적이 좋고 재무상으로도 문제가 없어 언뜻 보기엔 건전 경영을 하고 있는 기업이 갑자기...

  •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

    값싼 인건비나 시장개척 등의 이유로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의 국내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