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LCA]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단계에서부터 제조, 유통, 사용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걸친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는 방법론이다. LCA는 기업의 환경경영 경계를 사업장 내부에서 공급망 전체로 확장하는 도구이다.
주목받는 배경
LCA는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또 원료의 사용과 활용뿐 아니라 직간접 온실가스배출량 분석 등도 포함해 환경부하를 줄이는 것은 물론 공급망의 공정·원료별 온실가스배출 관리에 도움이 된다. 최종적으로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동향
1997년 국제표준화기구(ISO)가 LCA와 관련한 국제표준인 ISO14040을 발표한 이후 평가 방식은 고도화되고 있다. 환경파괴, 자원 부족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출발한 LCA는 현재 투입물 및 산출계수 등 과학적 검증 자료가 늘고 있어 전과정 지속가능성 평가(Life Cycle Sustainability Assessment, LCSA)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
적격심사낙찰제
적격심사낙찰제는 건설, 용역, 물품공급, 주택관리 등 다양한 공공 발주 사업에서 계약자를 ...
-
지니어스 법[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 GENIUS Act]
지니어스 법은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운영에 관한 최초의 연방 포괄 규제 법이다. 정...
-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
사용자나 계좌의 정보를 담고 있는 소프트웨어로 온라인상의 구매에 사용되며 스마트카드에 적용...
-
지방채[municipal bonds, local government bonds]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발행기관은 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