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열돔 현상

[heat dome]

상공의 고기압이 뜨거운 공기를 밀어 내려와 돔 형태를 만들고 지면에 열을 가두는 현상을 뜻한다.

이로 인해 지표면의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더워지며, 마치 돔구장 안에 뜨거운 공기가 가득 차 찜통이 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대기가 정체되면서 낮에 햇볕에 달궈진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로 폭염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일정 위치에 오래 머물며 몇 주에 걸쳐 지속할 수 있고, 예년보다 5~10도 이상 기온이 올라간다.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식생이나 토양 수분이 적은 대도시에서 발생할 위험이 크고, 공기가 정체되면서 대기 질이 악화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동안 한반도에서 기록된 역대급 폭염 역시 이 열돔 때문이었다.

1994년 7월 한 달간의 폭염, 2016년 가장 늦은 기간까지 이어진 무더위, 그리고 2018년 40도에 육박하던 사상 최악의 폭염도 모두 열돔 때문이었다.

  • 이벤트 프로듀스[event produce]

    기업의 이미지 향상이나 진흥을 위한 문화행사, 스포츠 대회, 박람회, 축제, 페스티벌, 심...

  • 오픈 마켓[open market]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모두 열려 있는 인터넷 중개몰(온라인 장터)을 말한다. 개인과 소규모 ...

  • 웹브라우저[web browser]

    인터넷에서 웹서버의 정보를 볼 수 있게 해주고 하이퍼텍스트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

  • 일회성 금융거래

    외환송금, 환전 등 금융회사에 계좌를 개설하지 않고 행한 거래. 일회성 금융거래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