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카린나트륨

 

설탕 대신 단맛을 내는 데 사용하는 인공감미료. 1878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에서 석탄 부산물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발견했고 20년 뒤 독일에서 대량생산이 시작됐다.

설탕보다 300배 더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가 거의 없어서 출시된 이후 당뇨 환자나 체중 조절을 원하는 이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1977년 캐나다 국립보건연구소에서 사카린을 투여한 쥐가 방광암에 걸렸다는 발표를 한 이후 사카린은 발암물질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퍼져 각국은 사용을 규제했다.

하지만 1992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사카린은 안전한 물질이라고 선언했고, 2001년 미국 FDA도 사카린이 안전하다며 식품사용을 허용했다.

  • 성장의 덫[growth trap]

    경제발전 초기에는 유치 단계의 이점을 누리면서 순조롭게 성장하다가, 어느 순간에 성장이 정...

  • 사전지정운용제[default option]

    가입자가 직접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이 운용 지시 없이 방치되고 있으면 회사와 근로자가 ...

  • 소액면세제도[De Minimis Exemption, De Minimis Rule]

    개인이 해외직구 등 비상업적 목적으로 소량의 물품을 수입할 때, 세금 징수에 따른 행정비용...

  •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

    신용카드나 현금영수증, 직불카드나 선불카드를 사용한 경우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한 사용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