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밈 주식

[meme stock]

각종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투자자의 눈길을 끌어 유행을 타게 된 주식을 말한다.

사업 성과 등 기업 실적에 상관없이 개인투자자 사이에 입소문을 타고 매수 주문이 몰리면서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한다. 변동성이 커서 도박에 가까운 특성이 있다.

원래 `밈'은 리처드 도킨스는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사용된 말로 유전적 방법이 아닌 모방을 통해 전달되는 문화 요소를 말한다.

문화적 유전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반복적 모방 투자를 한다는 의미로 주식 시장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 비디오게임 소매업체인 게임스톱이 대표적인 밈 주식으로 꼽힌다.

공매도 세력에 맞서 개인들이 게임스톱 주식을 끌어올린 사건이 밈 주식 열풍으로 번졌다.

관련어

  • 무관용의 원칙[zero tolerance]

    사소한 규칙 위반에도 관용을 베풀지 않는 정책. 깨진 유리창이 있는 건물을 그대로 두면 사...

  • 미경과소득[unearned income, unearned revenue]

    회계상에서 미리 받은 임차료나 고객들로부터 다른 선급금과 같은 아직 가득하지 않았지만 수령...

  • 맨먼스[man/month]

    소프트웨어개발 사업의 대가를 계산하는 방식의 하나로 한 사람이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양...

  • 매니지리얼 마케팅[managerial marketing]

    마케팅의 역할을 사회나 경제와 같은 전체적인 시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목적에 비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