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지급금

[temporary payments, temporary advances]

가지급금은 회사가 계열기업, 대주주, 종업원 등에게 회사 자금을 빌려주는 형태로, 회계적으로 일시적으로 별도 항목으로 관리되는 자금을 의미한다. 이는 구체적인 용도나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업활동과 관련된 자금으로 처리된다.

가지급금과 대여금은 유사하지만 구분된다. 대여금은 종업원의 주택자금 대출과 같이 영업활동과 무관하게 회사가 제공하는 자금인 반면, 가지급금은 반드시 영업활동과 연관된 자금으로 정의된다. 다만, 세법에서는 가지급금과 대여금을 모두 포함하여 '가지급금'으로 통칭한다.

가지급금은 과거 기업주가 회사 자금을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는 데 주로 활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재무적으로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세무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관리와 규제가 요구되는 항목이다.

  • 공사

    공기업은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부가 소유권을 갖거나 통제권...

  • 고용평등지표

    2006년 노동부가 한국노동연구원에 위탁하여 개발한 것으로 시간당 임금비율(노동보상도)과 ...

  • 기후변화[climate change]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온실가스의 농도가 변함으로써 상당 기간 관찰되어 온 자연적인 기후변...

  • 공급곡선[supply curve]

    공급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그 재화를 시장에 팔아서 얻을 수 있는 수입이 다른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