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좌초자산

[stranded assets]

기후변화 등 환경의 변화로 자산가치가 떨어져 상각되거나 부채로 전환되는 자산을 의미한다.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정유, 석유화학, 조선, 자동차 산업과 온실가스 대량 배출 산업인 철강, 시멘트, 플라스틱 산업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이런 산업이 보유한 자원의 매장량이나 시설은 급속히 가치가 줄어들 것이란 의미에서 ‘좌초자산’(stranded asset)이라 불린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좌초자산을 “이미 투자되었으나 수명이 다하기 전에 더이상 수익을 못내는 자산”으로 정의한다.

  • 주주행동주의자

    투자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임원 선임이나 교체 등 기업의 지배구조나 경영까지 개입하는 투...

  • 정부 간 거래[government to government, G2G]

    양국 정부가 계약 주체로서 계약의 체결 및 이행, 사후관리 등을 보증한다.

  • 자기거래 승인 강화

    자기거래는 회사 대표나 이사 등이 자신 또는 제3자를 위해 회사와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

  • 조사망률[粗死亡率, crude death rate, CDR]

    1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수를 당해연도의 연앙기준(한 해의 중간인 7월1일)으로 나눈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