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서, 주주가 갖고 있는 지분에 대한 이익의 창출 정도를 나타낸다. 자기자본이 1,000원이고 당기순이익이 100원이라면 ROE는 10%가 된다. 쉽게 말해 주주들이 1,000원을 투자한 회사에서 100원을 벌었다는 의미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자금의 조달비용을 초과하는 이익을 낼 수 있는 셈이다. ROE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익성을 증가시키거나, 자산의 활동성(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 같은 자산으로 사업을 하더라도 자기자본보다 부채가 많을수록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ROE가 높아진다. 그러나 부채를 많이 사용하면 회사가 부도를 낼 위험이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의 높은 ROE는 좋은 것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ROE가 비슷한 수준이더라도 회사별로 수익성, 자산의 활동성, 재무위험 등은 다르다.
관련어
- 동의어ROE
-
전기수직이착륙기[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eVTOL]
전력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호버링(hovering), 이륙 및 착륙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
-
제2금융권
은행을 전형적 금융기관으로 보는 관점에서 그밖의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
-
전방시현장치[head-up display, HUD]
전투기 조종사를 위한 군사장비로, 조종사가 전면 유리창을 통해 운항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
-
주식분할[stock split-up]
이미 발행된 주식을 쪼개어 그에 따라 늘어난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주식 소유비율에 따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