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링겔만 효과

[Ringelmann effect]

집단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날 수록 개인별 생산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가리키는 말.
프랑스의 농공학자 막시밀리앙 링겔만(Maximilien Ringelmann)이 줄다리기 실험을 통해 발견했다.
링겔만의 실험에서 한 명이 줄을 당겼을 때 개인이 내는 힘은 63㎏이었다. 그런데 세 명이 함께 줄을 당기니 개인이 쓴 힘은 53㎏으로 줄었다. 여덟 명일 때에는 한 명이 혼자 쓰던 힘의 절반만 썼다. ‘내가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이 당겨주겠지’ 하는 무임승차 문제와 ‘내가 살살 당기고 있는 걸 남들은 모르겠지’라는 익명성 문제가 나타난 사례다.
반대로 개인이 팀을 이뤘을 때 더 큰 힘을 내는 사례도 있다. 메디치 효과는 서로 다른 영역의 재능을 지닌 사람들이 만나 시너지를 내는 현상을 뜻한다. 이탈리아 메디치가문이 후원한 철학자 과학자 예술가들이 한데 모여 시너지를 낸 데서 따왔다.

관련어

  •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주식발행을 통해 여러명의 투자자들에게서 자금을 모아 상업시설 등 대규모 부동산이나 부동산 ...

  • 라떼 파파[Latte Pap]

    라떼 파파는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성평등한 가족문화를 실천하는 아빠를 뜻하는 용어로,...

  • 리튬 배터리[Lithium Battery]

    리튬(Li)을 양극 재료로 사용하는 2차 전지(충전식 배터리)의 총칭. 리튬이온전지(Li-...

  • 리퍼브PC[refurbished PC]

    ‘리퍼브’는 ‘리퍼비시드 프로덕트(refurbished product)’의 줄임말이다.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