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레벨3 자산

[level 3 assets]

미국 자본시장에서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시장가치를 평가하기 어려운 자산으로 우리나라로 치면 부실자산에 해당한다. 미금융권에서는 레벨3 자산의 가치를 스스로의 가격기준으로 재무제표에 반영, 부실의 규모를 숨길 수 있었다. 그러나 2007년 11월 15일부터 재무회계기준위원회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의 회계기준이 변경되면서 2008년부터 레벨3 자산도 시장가에 따라 평가해야 한다. 즉 레벨3에 해당하는 자산을 공개해야만 하기에 부실이 이전보다는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 부위의 통증, 부종, 관절 움직임 저하와 관절의 변형...

  • 레깅효과[lagging effect]

    일반적으로 특정 경제 사건이나 정책 변화가 실제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 리사이클링 시스템[recycling sytem]

    자원을 인공적으로 순환시켜 재생 이용을 꾀하는 것. 즉, 자원을 재활용하여 공해방지 및 자...

  • 리처드 H.세일러

    2017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미국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로 행동경제학 분야의 권위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