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인인증서

 

온라인에서 신원을 확인하거나 문서의 위·변조를 막기 위해 만들어져 민원서류 발급 같은 전자정부 서비스, 인터넷 금융 등에 활용됐다.

다만 발급이 번거롭고 관련 플러그인 기술인 ‘액티브X’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익스플로러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1999년 도입됐으나 2020년 5월 20일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를 폐지하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공인인증서’의 독점 기능이 사라지고 사설 인증서도 기존 공인인증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사설 인증서는 적절한 보안 수준만 갖추면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차별 없이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만큼 660억원 규모(2018년 기준)의 국내 전자서명 시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별도 프로그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카카오페이 인증’,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패스’와 은행권이 선보인 ‘뱅크사인’ 등이 대표적인 수혜자로 꼽힌다.

  • 공공선택이론

    공공부문에서 전개되는 제도적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이론을 총...

  • 기업실적

    기업실적은 "어떤 기업이 얼마만큼 팔아 어느정도 이익을 올렸는가"를 나타내는 말이다. 구체...

  • 간주정상

    보험 계약자가 3개월 간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해 보험 보장을 받지 못하는 실효상태가 됐음에...

  • 검색엔진[Search Engine]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한 지도 역할을 하는 것이 검색엔진이다. 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