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크 오일 이론

[peak oil theory]

원유생산 능력이 한계에 도달해 조만간 원유생산이 최고점에 이른 뒤 급감하는 과정에서 유가가 크게 오르고 세계경기는 대공황과 인류는 대규모 기아사태를 맞게 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이 이론의 전문가인 포스트카본연구소의 리처드 하인버그는 원유 생산이 2005년 5월 고점을 찍었으며 2007년 현재 하루 8500만배럴 수준인 원유 생산량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게 돼 2030년께면 3000만배럴 수준까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세계 경제는 침체기를 맞고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농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식량 생산도 급감, 수십억 명이 굶어죽는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피크 오일 이론의 반대론자들은 시추 및 채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으로 경제성이 없어 개발되지 않은 유전들이 새로운 원유 공급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풋콜레이쇼[put call ratio]

    풋옵션의 거래대금을 콜옵션의 거래대금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판단하는 기술적...

  •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자기 코팅으로 덮여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저장매체. 편리성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를 ...

  • 푸드테크[FoodTech]

    식품을 뜻하는 Food와 기술을 뜻하는 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과 기술을 결합하...

  • 프레너미[Frienemy]

    친구를 뜻하는 영어 단어 ''프렌드(friend)''와 적(敵)을 의미하는 ''에너미(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