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크 오일 이론

[peak oil theory]

원유생산 능력이 한계에 도달해 조만간 원유생산이 최고점에 이른 뒤 급감하는 과정에서 유가가 크게 오르고 세계경기는 대공황과 인류는 대규모 기아사태를 맞게 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이 이론의 전문가인 포스트카본연구소의 리처드 하인버그는 원유 생산이 2005년 5월 고점을 찍었으며 2007년 현재 하루 8500만배럴 수준인 원유 생산량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게 돼 2030년께면 3000만배럴 수준까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세계 경제는 침체기를 맞고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농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식량 생산도 급감, 수십억 명이 굶어죽는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피크 오일 이론의 반대론자들은 시추 및 채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으로 경제성이 없어 개발되지 않은 유전들이 새로운 원유 공급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표준약관

    약관이란 계약 일방 당사자가 다수의 상대방과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일정한 형식에 의해 미리...

  • 편광판

    두께가 머리카락 2~3개 정도 굵기인 0.3㎜의 초박막 필름으로 일정한 방향의 빛만 통과시...

  • 평가금액

    보유한 펀드 좌수에 해당일 기준가를 곱한 가격을 1000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펀드는 대...

  • 펀드랩[fund wrap]

    여러 펀드를 하나의 묶음으로 엮어 운영하는 펀드간접투자상품. 운용사가 고객을 대신해 펀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