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안전보건법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1981년 제정된 법안.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으로서, '산업재해'에 대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제2조 제1호).

산업재해를 문언상 넓게 규정하는 대신 모든 산업재해를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구체적으로 정한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에만 처벌한다.

관련어

  • 수도권 규제

    여러가지 내용을 포함한 복합적인 의미로 서울과 그 인근 수도권에 인구가 몰리고 경제력이 더...

  • 시가총액[aggregate value of listed stocks]

    기업이 발행한 모든 주식을 싯가로 평가한 금액이다. 상장종목별로 그 날 주가에 발행주식수를...

  • 십분위분배율[deciles distribution ratio]

    십분위분배율은 한 나라의 모든 가구를 소득 크기에 따라 10등분해 상위 20% 소득에 대한...

  •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저장공간과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의 IT 인프라 장비를 빌려주는 서비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