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드루젠

 

망막검사를 할 때 보이는 작고 둥근 황백색 병변을 지칭하는 말이다. 세포 대사로 생긴 노폐물이 망막색소상피에 쌓여 있는 것으로, 드루젠이 많으면 세포가 변형되고 손상될 위험이 크다.
드루젠은 노화 때문에 생긴다. 눈의 기능이 떨어지고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드루젠 같은 노폐물이 생긴다. 드루젠 의심 소견을 들었다고 해서 모두 질환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정밀 검사를 거친 뒤 정상 색소침착으로 진단되는 환자도 있다. 만약 정밀검사에서 망막질환이라고 진단받으면 빨리 치료해야 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드루젠 의심 소견 진단을 받았다면 정밀검사를 받아봐야 하는 이유다.
눈을 카메라에 비유했을 때 망막은 시각자극을 시신경으로 전달하는 필름에 해당한다. 망막의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 황반이다. 황반변성은 황반이 변화하는 질환이다. 50세 이상 환자가 많다. 눈의 황반 부분에 드루젠이 생기면 크기와 수, 색소 변화 등 상태에 따라 진행 정도를 구분한다. 건성 황반변성은 드루젠 때문에 황반에 있는 시세포가 파괴돼 중심부 시력이 점차 약해지는 것을 말한다. 최근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건성 황반변성은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습성 황반변성이 생기면 불필요한 혈관이 생겨 시력이 떨어지고 심하면 실명한다.
황반변성 초기에는 시력이 떨어지고 물체가 휘어 보이거나 중심 부분이 보이지 않는 증상이 생긴다.

관련어

  • 디아스포라 채권

    디아스포라(diaspora)는 그리스어로 ''고국을 떠나 흩어진 사람들''이란 뜻으로 디아...

  • 대손충당금[reserve for bad debts,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대손충당금은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자산이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

  • 대출백화점

    예금 이외의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대출 및 보증 등 각종 여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신 ...

  • 디지털도서관[digital library]

    기존의 도서관과는 달리 문자, 음악, 그림, 영상 등 인간이 이룩한 모든 문화적 자산을 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