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루빈 독트린

[Rubin doctrine]

달러 강세가 자국의 국익에 부합한다는 당시 로버트 루빈(Robert Rubin) 미국 재무장관의 인식을 바탕으로 펼쳐졌던 ‘슈퍼 달러’ 시대를 말한다. 1995년 4월에는 일본 경제를 살리기 위한 ‘역(逆)플라자 합의’ 이후 달러 강세를 용인하는 ‘루빈 독트린’ 시대가 전개됐다. 타깃 통화인 일본 엔화 환율은 달러당 79엔에서 148엔까지 급등(엔화가치 하락)했다.

당시 미국 경제는 견실했다. 빌 클린턴 정부 출범 이후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되는 정보기술(IT)이 주력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신경제(New Economy) 신화’를 낳았다. 경제 위상도 높았다. 그 결과 ‘외자 유입→자산 가격 상승→부(富)의 효과→추가 성장’ 간 선순환 고리가 형성돼 전후 최장의 호황기를 누렸다.

그 결과 금리차와 환차익을 겨냥한 캐리 자금이 신흥국을 이탈해 미국으로 몰려들었다. 1994년 중남미 외채위기,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1998년 러시아 국가채무 불이행(모라토리엄) 사태까지 이어지는 신흥국 위기가 잇달아 발생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신흥국 위기를 초래한 GD와 강달러를 주도한 당시 Fed 의장 및 재무장관 이름을 따 ‘그린스펀·루빈 쇼크’라고 부른다.

미국도 슈퍼 달러의 부작용을 버티지 못하고 2000년 이후에는 ‘IT 버블 붕괴’라는 위기 상황을 맞았다.

  • 리버스 드래그[reverse drag]

    소수지분 투자자(소수주주)가 자신의 지분을 제3자에게 매각하려 할 때, 대주주(또는 경영권...

  • 로젠탈 효과[Rosenthal Effect]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였던 로버트 로젠탈 교수가 발표한 이론으로 칭찬의 긍정적 효과를 설명...

  • 리커창지수

    리커창 중국 부총리가 신뢰성이 떨어지는 GDP 대신 경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참고하는 △철...

  • 림보세대[Generation Limbo]

    림보세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사회적 현상으로, 대학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