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직적격성평가

[公職適格性評價,, Public Service Aptitude Test, PSAT]

공무 수행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소양, 자질 등을 갖추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이다.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PSAT는 암기지식이 아닌 이해력, 추론과 분석, 상황판단능력 등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2004년 외무고시 1차시험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현재 입법ㆍ행정고등고시로 확대 시행되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7급 공무원 1차시험에서 국어를 대체하게 된다.
7급 공채에 도입되는 PSAT는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등 3개 영역별로 25문항, 시험시간 60분으로 검토 중이다.2004년부터 5급 공채에 도입된 PSAT는 3개 영역의 40문항을 90분 동안 풀어야 한다

  • 고 민감도 자성나노물질

    나노기술로 자성 특성이 최적화된 10㎚ 크기의 산화철계열 나노 입자로 자기공명영상(MRI)...

  • 거절체[拒絶體]

    정상 피보험체인 표준체에 비하여 보험사고의 발생위험이 너무 높거나 위험의 평가가 불가능하여...

  • 가계부실위험지수[household debt risk index, HDRI]

    가계의 소득과 자산을 바탕으로 채무상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가계의 소득은 가구의 수입...

  •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Association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AAALAC]

    1965년 국제적으로 실험동물에 대한 평가. 인증과 윤리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설립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