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지박

 

전지박은 충전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2차 전지의 음극 부분에 씌우는 얇은 구리막.

전지박은 전자가 이동하는 경로다.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전극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체 역할도 하기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에선 두산그룹의 사업지주회사인 (주)두산이 2014년 룩셈부르크의 동박(銅薄) 제조업체 서킷포일을 인수해 전지박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2018년 7월 1일에는 헝가리 터터바녀 산업단지 내 14만㎡ 부지에 연간 5만t 규모의 전지박 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2019년 하반기 공장 건설을 완료하면 매년 전기차 220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의 전지박을 생산한다.

  •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제도

    기업이 장애인고용을 목적으로 자회사를 설립하면 자회사에 고용된 장애인을 모회사가 고용한 것...

  • 자산 디플레이션[asset deflation]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가치와 주식과 같은 금융자산의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 주택수익비율[Price to Rent Ratio, PRR]

    임대료 수준에 비해 실제 주택가격에 얼마나 거품이 끼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주택매매가격을...

  • 주주[shareholder, stockholder]

    주식을 가지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회사 경영에 참가하고 있는 개인 및 법인을 말한다. 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