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현물이전
국가가 국민에게 현물로 제공하는 의료와 교육, 보육 등 상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무상복지가 대표적이다.
통계청은 2018년말까지 무상교육, 의료, 보육, 공공임대주택, 기타 바우처(서비스·상품 이용권) 등 5개 분야의 사회적 현물이전 혜택 규모를 추산할 계획이다.
사회적 현물이전을 반영하면 복지혜택이 상대적으로 큰 1분위의 명목소득이 증가해 소득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
수평적 결합[horizontal combination]
비교되는 제품의 생산이나 판매에서의 유사한 기능을 가진 회사 간의 결합.
-
선물환거래 실수요증명제
실제 필요한 만큼만 선물환거래를 허용하는 것.선물환거래란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을 방지하기...
-
신용카드 소득공제제도 (2020)
급여소득자에게 총급여에서 25%를 초과해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 연 330만원까지 세금을 징...
-
시장형 실거래가제
병원 등이 의약품을 싸게 구입하면 보험 등재가와 구입 금액 간 차이의 70%를 돌려주는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