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득주도성장

[wage-led growth]

저임금노동자·가계의 임금·소득을 올려 소비증대→ 기업 투자 및 생산확대→소득증가의 선순환구조를 만들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줄여서 `소주성'이라고도 일컫는다.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자들의 임금주도성장(wage-led growth)에 근거하고 있다.

대기업의 성장으로 인한 임금 인상 등 ‘낙수효과’를 기대하기보다 근로자의 소득을 인위적으로 높이는 전략으로 문재인 정부의 핵심경제 정책이다.

하지만 소득주도 성장의 개념이 주로 노동·일자리 분야에 국한된 정책을 의미해 ‘노동자 임금 인상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 신주택보급률

    주택보급률을 산정할 때 1인 가구를 포함하는 한편 다가구 주택을 한 주택으로 보지 않고 개...

  • 생산자 잉여와 소비자 잉여[producer surplus & consumer surplus]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실제로 받은 금액에서 생산자 비용을 빼고 얻는 이득이다....

  • 소재산업

    소재(materials)는 부품이나 기계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 사업화연계연구개발[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R&BD]

    기존의 R&D에 사업화(business)를 추가한 것. 상업적 목적을 위해 연구(R&D)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