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령집회

 

다른 집회를 막기 위해 먼저 집회 신고를 하고 실제 집회는 열지 않는 방어용 집회를 말한다.
일부 기업이나 단체는 유령집회를 시민·사회단체의 집회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7년 1월28일부터 유령집회 주최 측에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개정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이 시행되면서 유령집회는 급격히 자취를 감추게 됐다.

개정 집시법에 따르면 유령집회를 한 단체는 위반 횟수에 따라 1회 30만원, 2회 50만원, 3회 이상 80만원까지 과태료를 납부해야 한다. 납부 시기가 늦어져 금액이 가중되면 과태료는 최대 100만원까지 뛴다.

  • 어닝시즌[earning season]

    기업들이 분기별, 또는 반기별 실적을 발표하는 시기를 일컫는다. 기업들은 1년에 네 차례 ...

  • 인슐린[insulin]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어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인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

  • 인페션[infession]

    ‘인플레이션(inflation)’과 ‘경기 침체(recession)’의 합성어로, 인플레이...

  • 액면전환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바꾸는 방식의 하나.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교환될 때 주식의 액면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