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오염배출권

 

일정 지역 내에서 배출할 수 있는 오염의 총량이 정해지면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해당 지역의 기업이나 단체 등이 일정 규모씩 배당받는 권리이다. 만약 오염배출의 총량을 늘리고자 하면 시장에서 오염배출권을 추가로 구입해야 한다.

이 제도의 장점은 앞선 공해방지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은 최대한 오염을 억제하면서 남는 배출권을 시장에서 판매할 수도 있으며 공해방지기술이 뒤진 기업은 배출권을 구입하는 형태로 환경을 규제하기 때문에 가장 경제적 효율성이 뛰어난 오염방지대책이다. 또 환경오염방지 분야의 기술개발 동기도 부여하게 된다. 현재 미국이 대기정화법에 의해 발전소의 아황산가스에 대한 오염배출권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초기의 배출권 할당, 실제 배출량의 측정 등 기술적인 문제로 선진국에서도 한정적으로만 이용하고 있다.

  • 일함수[work function]

    전극에서 전자 하나를 외부로 끌어내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작업량이나 에너지

  • 엔터프라이즈2.0

    미국 하버드대의 앤드류 맥아피 교수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웹2.0의 개념과 플랫폼을 기업 ...

  • 아버지 휴가 제도[daddy quota]

    남성의 육아를 권장하기 위해 노르웨이 정부에서 1993년 부터 운영중인 제도. 엄마·아빠의...

  • 양봉

    종가가 시가보다 높게 끝난 것을 말한다. 장 시작은 약세로 시작됐으나 매수세가 점차 강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