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출자주규제

[voluntary export restraint]

수입국측의 수입제한조치 발동을 회피하기 위하여 수출국 정부 또는 단체가 자주적으로 수출수량이나 가격 등을 제한하는 것이다. GATT제19조에서 시장 혼란에 대한 세이프 가드로 일시적인 수입제한조치 발동을 인정하고 있는데 수출국측에 대항조치를 인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수입국측으로 하여금 수입제한조치의 발동 대신에 수출국측에 자주규제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국측의 자주규제는 무역관련법에 의한 규제 외에 행정지시로 행하는 경우가 있다. 수출자주규제는 오래 계속되면 산업의 자유로운 경쟁을 방해하고 수입국의 산업재생에 불리하다는 비판도 있다.

  • 사채

    회사채는 기업이 시설자금이나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기업은 채권...

  • 시장개척보험

    산업설비 수출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국제 경쟁입찰에 참여하였으나 낙찰 받지 못하는 경우, 입...

  • 사회적 일자리

    사회적으로 유용하지만 수익성이 낮아 시장에서 공급이 충분치 않은 서비스분야의 일자리를 말한...

  • 샤힌 프로젝트[Shaheen Project]

    에쓰오일은 9조2천580억원을 들여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 내에 스팀 크래커를 비롯한 대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