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출자주규제

[voluntary export restraint]

수입국측의 수입제한조치 발동을 회피하기 위하여 수출국 정부 또는 단체가 자주적으로 수출수량이나 가격 등을 제한하는 것이다. GATT제19조에서 시장 혼란에 대한 세이프 가드로 일시적인 수입제한조치 발동을 인정하고 있는데 수출국측에 대항조치를 인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수입국측으로 하여금 수입제한조치의 발동 대신에 수출국측에 자주규제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국측의 자주규제는 무역관련법에 의한 규제 외에 행정지시로 행하는 경우가 있다. 수출자주규제는 오래 계속되면 산업의 자유로운 경쟁을 방해하고 수입국의 산업재생에 불리하다는 비판도 있다.

  • 스몰 셀

    전송파워와 운용범위가 작은 소규모 무선 접속 장비로 제품 크기가 작고 저전력으로 운영돼 유...

  • 생산자 개발방식[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ODM]

    자체 설계·개발능력을 갖춘 제조업체가 유통망을 확보한 판매업체에 스스로 개발 생산한 상품이...

  • 수당

    기본급이 정상적인 근로조건 하에서의 노동의 대가라면 수당은 기본급에 덧붙여서 근무조건이나 ...

  • [therm]

    열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1섬은 1000Kcal에 해당한다. 기호로 ‘thm’이라고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