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물가지수
[export and import price index]수출입상품의 가격동향을 파악하고 그 가격변동이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특수목적지수 중의 하나다. 수출입물가지수의 가격조사 대상 품목은 수출입총액의 2천분의 1 이상의 거래 비중을 갖는 것이다. 2005년 기준 수출물가지수는 2백11개 품목, 수입물가지수는 2백34개 품목을 조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품목별로 조사되는 가격은 수출은 FOB, 수입은 CIF 기준 미 달러화 표시가격을 원칙으로하되 일부 품목의 경우에는 거래관행에 따라 계약통화 표시가격을 적용하고 있으며, 가격조사 시점은 국내물가에 대하여 가장 선행성이 있는 시기의 실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출입계약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
스텔스 오미크론[stealth Omicron]
2022년 3월 현재 유행하고 있는 오미크론(BA.1)의 하위 계통 변이종. 기존의...
-
스마트 시티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도시 경쟁력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의 지속가능성...
-
소득 1~7분위
소득분위는 통계청이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분기 소득수준에 따라 10%씩 10단계로 나눈 지...
-
실도로 주행 배출가스측정[real driving emission, RDE]
디젤차에 측정 장치를 장착해 실제 도로를 달리면서 급가속·제동, 언덕 주행, 에어컨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