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블루카본

[blue carbon]

염생식물, 잘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갯벌 등의 퇴적물을 포함한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말한다.

자연에 존재하는 탄소는 기능과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흔히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화석연료를 지칭하는 ‘블랙카본’, 육상 산림이 흡수하는 탄소를 ‘그린카본’이라고 일컫는다.

블루카본은 그린카본보다 탄소 흡수 및 저장 효율이 높다. 해양생태계가 바닷물에 잠겨 있어서다. 대기 중에서 흡수된 탄소가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 저장되면 다시 방출되는 일이 드물다.

블루카본 중에서도 맹그로브의 탄소흡수량은 압도적이다. 갈대, 잘피 등에 비해 뿌리가 깊은데다 울창한 숲을 이루기 때문이다. 맹그로브 군락지 1ha(헥타르)의 탄소 흡수량은 연간 1.62t에 달한다. 갈대(0.91t), 잘피(0.43t) 등을 크게 앞선다. 한국 자생종인 소나무의 세 배 이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 해양 생태계는 육상 산림보다 면적은 좁지만 탄소 흡수 총량은 비슷하다. 유엔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도 해양 생태계가 육상 생태계보다 온실가스 흡수 속도가 최대 50배나 빠른 것으로 보고한 바 있으며 제1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에서 국제 연구기관과 단체들이 블루카본에 대한 사업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아직 블루카본이 국제협약에서 인정받은 것은 아니지만 곧 탄소 흡수원으로 국제사회에서 합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어

  •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biomedicine)을 본 따 만든 의약품이다. 후...

  • 불황형 흑자

    수입이 수출보다 더 줄어 무역흑자가 나는 현상. 경상수지는 수출이 늘어도 흑자가 나지만 국...

  • 바이모달트램[bimodal tram]

    버스와 지하철을 혼합한 신개념 차량으로 무공해 동력원인 연료전지를 이용해 버스처럼 일반도로...

  • 부동산 PF

    부동산 PF는 특정 부동산 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그 사업에서 발생하는 미래 현금흐름을 상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