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비슷한 선호와 취향을 가진 소비자를 묶어서 몇 개의 고객집단으로 나누고 이 중에 특정 집단을 골라 기업의 마케팅 자원과 노력을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집행하는데 필요한 전략이다.

시장세분화를 위해서는 다수의 소비자를 소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소비자 나이, 소득수준, 교육수준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라이프스타일, 성격 등의 심리적 특성, 이외에도 소비패턴, 주거지역, 문화 등 다양한 소비자 특성 변수를 활용해 시장세분화를 할 수 있다.

마케팅에서 종종 사용하는 시장세분화 방법 중 하나가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이다. 마케팅에서 코호트는 특정한 경험을 공유하는 소비자 세대를 말한다. 학자마다 연령대별 분류가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2016년 기준으로 대략 50~60대에 해당하는 ‘베이비부머’, 30~40대에 해당하는 ‘X세대’, 10~20대에 해당하는 ‘위제너레이션(WE generation)’ 등이 있다.

관련어

  • 승수이론[theory of multiplier]

    재정지출이 몇 배나 큰 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케인스는 불황에 ...

  • 선철[銑鐵, pig iron]

    용광로에서 만든 고탄소철. 무쇠라고도 한다. 탄소 함유량이 1.7~4.5%다. 철의 원료인...

  • 소비성 서비스업

    호텔업과 여관업(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숙박업 제외), 식품위생법에 의한 단란주점영업 및 유...

  • 스무딩 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

    외환시장에서 한 방향으로 환율이 지나치게 급하게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