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채권금융기관 기업구조조정업무 운영협약

 

2015년 말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근거법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의 실효로 발생할 기업구조조정 업무 공백을 메우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금융협회 및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과 공동으로 마련한 기업구조정 협약. 2015년 1월 18일 처음 공개됐으며 2016년 2월 1일 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운영 협약은 기존 기촉법 내용을 거의 대부분 반영했다. 전체 금융권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 가운데 신용위험평가 결과 부실징후 기업으로 선정된 업체가 구조조정 대상이다.

주채권은행이 채권단협의회 소집을 통보한 시점부터 해당 기업에 대한 채권행사는 자동 유예된다. 워크아웃 여부 등은 채권단 75% 이상(의결권 기준) 찬성으로 결정된다. 금감원은 이 협약이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점을 감안해 채권단협의회 의결을 이행하지 않는 금융회사에 대해선 손해배상책임을 부과할 수 있는 조항을 마련했다.

  • 차등의결권제도[dual class stock system]

    최대주주나 경영진이 실제 보유한 지분보다 많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총생산[gross output, GO]

    모든 생산 단계의 총지출 규모를 통해 한 나라의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지표다. 소비자...

  • 최종결제

    최종거래일까지 전매나 환매되지 않은 약정에 대해 최종결제가격을 평가해차액을 수수하는 것.

  • 창업투자회사[創業投資會社]

    86년에 제정된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해 중소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육성에 기여할 목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