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체납

[arrears]

일반적으로 부채, 할부 대금, 채권 이자 등의 만기 후에도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국제통화기금(IMF)등에서는 채무자가 만기일까지 채무 상환을 하지 않은 상태를 ''디폴트(default)''와 구분해서 일컫을 때 'arrears'사용하기도 한다.

2015년 6월 30일 그리스의 IMF 채무 상환 실패가 이에 해당한다.

IMF는 내부규정상 회원국의 상환 실패를 디폴트가 아닌 체납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의 국제신용평가사도 국가가 상업금융기관, 즉 민간채권자에 부채를 상환하지 못할 경우 만을 디폴트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기구에 돈을 갚지 못한다면 민간채권자에게도 돈을 갚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체납은 실직적으로는 디폴트와 같은 의미로 여겨진다.

  • 창어 5호[嫦娥 5, Chang'e 5]

    중국이 2020년 11월 24일 발사한 달 탐사선. 이 위성은 지금까지 한 번도 인류가 찾...

  • 청산가치[liquidating value]

    파산등의 이유로 영업활동을 중단해 청산하는 경우 산출되는 회사의 자산가치. 현시점에서 기업...

  • 췌담도암

    췌장에 생기는 췌장암, 간부터 담즙이 분비되는 길인 담도를 따라 생기는 간내담도암, 간외담...

  • 추계과세자

    영세자영업자 지원 차원에서 소득세 부과 때 혜택을 주는 사업자. 장부와 같은 증빙 없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