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수목적회사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서류상 회사(paper company)로 스팩(SPAC)이라고도한다. 공모로 액면가에 신주를 발행해 다수의 개인투자자금을 모은 후 상장한 후 3년 내에 비상장 우량기업을 합병해야 한다. 일반투자자들로서는 SPAC 주식 매매를 통해 기업 인수에 간접 참여하는 셈이 되고 피인수 기업으로서는 SPAC에 인수되는 것만으로 증시에 상장하는 효과가 있다. 우회상장과 유사하지만 SPAC는 실제 사업이 없고 상장만을 위해 존재하는 페이퍼컴퍼니라는 점이 다르다.
SPAC의 최종 목적은 기업 인수가 아니라 투자 차익이기 때문에 기존 경영진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회사를 그 기간 안에 합병에 성공하면 투자자들은 비상장이던 우량기업이 상장되면서 가격이 오른 주식을 팔아 이익을 남길 수 있다. 지정감사를 받지 않는 만큼 비상장기업 입장에선 기업공개(IPO)에 비해 1년6개월~2년가량 빨리 상장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2009년 도입됐다.
-
개인부문 금융부채
개인부문 금융부채, 상거래신용 및 기타 금융부채 등 ‘비이자부부채’를 제외하고 개인부문이 ...
-
결합판매제도
유선전화와 초고속인터넷, 휴대전화, 방송, 보험상품 등 별도로 판매되던 복수의 상품이나 서...
-
기준배출량[Baseline]
기후변화협약에서 당사국의 배출량 추이 (trends)를 의미한다. 기준 배출량은 경제 성장...
-
국제스왑딜러협회[International Swaps and Derivatives Association, ISDA]
스왑(swap)거래시의 표준 설정을 주목적으로 하는 스왑딜러 (swap dealer)의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