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기동향지수

[diffusion index, DI]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나 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작성방법은 총구성지표수에서 차지하는 증가지표수와 보합지표수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데 0∼100의 수치로 표시된다.

위의 공식에 의해 작성된 경기동향지수가 50을 초과하면 경기는 확장 국면에, 50 미만이면 수축 국면에 있음을 나타내며, 50이면 경기가 전환점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개별경제지표들의 변화나 방향만을 종합한 경기지표이므로 경기동향지수 자체가 경기의 변동속도를 정확히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건축심의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을 지을 때 인·허가에 앞서 도시미관 향상,공공성 확보 등을 따져보는...

  • 글로벌보건안보구상[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

    국제보건분야에서 국가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창립된 국제공조체제. 에볼라, 조류독감 등 ...

  • 긴급사용

    감염병 위기가 발생했거나 발생이 우려될 때, 정식으로 허가된 체외진단용 의료기기(검사시약)...

  • 경제지리학[economic geography]

    사전적으로는 경제사상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는 인문 지리학의 한 분야로 정의된다. 좀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