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기동향지수

[diffusion index, DI]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나 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작성방법은 총구성지표수에서 차지하는 증가지표수와 보합지표수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데 0∼100의 수치로 표시된다.

위의 공식에 의해 작성된 경기동향지수가 50을 초과하면 경기는 확장 국면에, 50 미만이면 수축 국면에 있음을 나타내며, 50이면 경기가 전환점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개별경제지표들의 변화나 방향만을 종합한 경기지표이므로 경기동향지수 자체가 경기의 변동속도를 정확히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고정이하 여신비율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고정이하 여신 합산금액을 총여신으로 나눈 값으로 높으면 그만큼 위험하다...

  • 국민주택채권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라 부동산을 산 사람이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할 때 부동산 시가표준액의 일...

  • 공작기계[a machine tool]

    산업 현장의 기본이 되는 기계로 자동차 부품가공, 금형가공, 연삭 등에 주로 사용된다. 주...

  • 기타 공공기관

    공공기관은 성격에 따라 크게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으로 나뉜다. 자체 수입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