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히터 규모

 

1935년 미국 지질학자인 찰스 리히터 (C.Richter)가 지진의 규모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제안한 단위.
''리히터 스케일(Richter scale)''이라고도 한다.

이는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 주기, 진앙 등을 계산해 산출되며 지진파로 인해 발생한 총에너지의 크기이자 계측관측에 의해 계산된 객관적 지수다.

예를 들어 M9.0이라고 표현할 때 M은 규모(magnitude)를 의미하고 수치는 소수 1자리까지 나타내며, ''리히터 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또는 ''규모 5.6의 지진''라 표현된다.

한편 리히터 규모는 지진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절대적'' 개념이고 ''상대적'' 개념인 진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반면 ''진도''는 지진이 일어났을 때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최근에는 계측기에 의해서 직접 관측한 값을 쓰는 경우도 많다. 또 진도의 단계는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지진 규모에 따른 사람의 느낌이나 사물의 피해 정도
규모 3.5미만 : 사람이 거의 느끼지 못하지만 기록된다
규모 3.5-5.4 : 가끔 느껴지고 미약한 피해가 발생한다(창문 흔들리고 물건 떨어짐)
규모 5.5-6.0 : 건물에 약간의 손상이 온다(벽균열, 서있기 곤란)
규모 6.1-6.9 : 사람이 사는 곳이 파괴될 수 있다(가옥 30% 이하 파괴)
규모 7.0-7.9 : 큰 피해를 야기한다(가옥 전파, 교량 파괴, 산사태, 지각 균열)
규모 8.0 이상: 거대한 지진으로 모든 마을이 파괴된다.

관련어

  • 리스[lease]

    대개 지대의 형태로 비용을 지불하고 일정기간 부동산, 설비, 기타 고정자산을 이용하는 계약...

  • 런치플레이션[lunchflation]

    점심(lunch)과 가격 급등(inflation)을 결합한 신조어로 미국에서 생겨났다. ...

  • 레버리지 매수[leveraged buyout, LBO]

    인수대상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빌린 자금을 이용해 해당 기업을 인수하는 기법....

  • 로스컷[loss cut]

    주식이나 외환, 파생상품 등에 투자했을 경우 시장가격이 매입단가보다 일정 비율 아래로 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