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스커트 효과
불황일 때는 가라앉은 기분을 띄우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 현상. 무거운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니스커트 효과도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미니스커트가 유행한 것이 1995년인데 외환위기를 겪은 1997년에는 치마가 길어졌다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경기와 상관없이 미니스커트는 꾸준히 유행하고 있다.
미니스커트 효과와 비슷한 용어로 경제가 어려울수록 옷은 잘 안 팔리지만 여성들이 립스틱과 같은 저가 화장품을 많이 구매한다는 ‘립스틱 효과’를 꼽을 수 있다.
-
무선전력위원회[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무선충전에 관한 기술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단체로 삼성전자, LG전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뮤신[mucin]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로 점액소 또는 점소라고도 한다. 당단백질의 일종으로 턱밑샘, 위...
-
메뉴비용[menu cost]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조정할 때 메뉴판을 바꾸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다. 식당에서 음식값...
-
메가시티 리포트[Mega-City Report]
독일의 지멘스가 전 세계 25개의 메가시티(Mega City, 거대 인구 밀집 도시)를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