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법률로 줄여서 "파견법"이라고도 한다.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노동시장 유연화 차원에서 행정·서비스 등 32개 업종에 대한 파견이 허용됐다. 하지만 정작 인력 수요가 많은 제조업에 대해서는 파견이 금지되면서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사업주가 사법 처리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불법적으로 고용을 하기도 하고 외주생산을 늘리는 등의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관련어
- 동의어파견법
-
핀펫[FinFET]
구조가 물고기 지느러미(Fin)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줄...
-
패스키[Passkey]
기존의 비밀번호 대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 자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새...
-
파장분할방식 수동형광네트워크[wavelength-division multiplexer 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
한가닥의 광섬유로 여러 파장의 광신호를 전송하는 파장분할다중 방식기술. 가입자마다 상·하향...
-
퍼네이션[funation]
퍼네이션은 ‘재미(fun)’와 ‘기부(donation)’의 합성어로, ‘즐거움을 느끼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