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법률로 줄여서 "파견법"이라고도 한다.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노동시장 유연화 차원에서 행정·서비스 등 32개 업종에 대한 파견이 허용됐다. 하지만 정작 인력 수요가 많은 제조업에 대해서는 파견이 금지되면서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사업주가 사법 처리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불법적으로 고용을 하기도 하고 외주생산을 늘리는 등의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관련어

  •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 PSF]

    약물이 담겨 있는 주사기. 한 번 사용 후 폐기할 수 있어 의료 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

  •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미국과 미국의 최우방국인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5개국으로 이루어진 기밀정보 공유...

  • 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

    미국 통화인 달러화가 주도하는 세계경제 질서를 일컫는 용어이다. 미국 달러화는 국제통화 체...

  • 파생결합상품

    파생금융상품의 일종으로 주식 채권 예금 등 일반적 금융상품에 파생계약을 결합한 형태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