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법률로 줄여서 "파견법"이라고도 한다.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노동시장 유연화 차원에서 행정·서비스 등 32개 업종에 대한 파견이 허용됐다. 하지만 정작 인력 수요가 많은 제조업에 대해서는 파견이 금지되면서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사업주가 사법 처리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불법적으로 고용을 하기도 하고 외주생산을 늘리는 등의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관련어

  • 플라잉카[flying car]

    땅과 하늘을 모두 달리는 자동차다. 일반 자동차처럼 도로를 달릴 수 있다는 점에서 순수한 ...

  • 프로보노[Pro Bono]

    ''공공의 이익을 위한 무료봉사''라는 뜻으로, 라틴 문구인 ''공익을 위하여(pro bo...

  • 피셔 효과[fisher effect]

    중앙은행의 총통화증가율 조절은 시중실세금리와 주가에 민감하게반영되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

  • 판매시점관리[point of sales]

    판매장에 컴퓨터와 연결된 포스 단말기를 설치하여 각종 데이터를 일단 2차 기록장치(포스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