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크 오일

[peak oil]

석유 생산이 최고점에 이른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말한다.

석유생산 정점이후에는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는 신규유전발견의 부진,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의 감소, 전쟁 등의 요인에 기인한다.

피크 오일 이론은 미국 지질학자 M.킹 허버트가 1956년 처음 제시했다. 그는 미국 석유 생산량이 1970년대 중반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미국 석유 생산량은 1970년대 후반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 새로운 석유 매장량 발견으로 인해 세계 석유 생산량은 2000년대 초반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세계 석유 생산량도 곧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3년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30년에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크 오일이 언제 발생할지는 불확실하지만, 피크 오일이 발생하면 에너지 가격 상승, 경제 성장 둔화, 사회 불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표준 원산지관리시스템[KECOMS]

    원산지관리 전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 구축하기 어려운 중·소수출업체 및 원재료생산업체를 ...

  • 퓨어커버 방식[pure cover]

    금융기관에서 수출보험증권을 담보로 수출금융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업금융을 활용한 정부의 수출...

  • 파생결합사채[ELB·DLB]

    파생결합증권(ELS·DLS) 중에서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따로 분리한 형태다. 기초자산...

  •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

    억눌렸던 수요가 급속도로 살아나는 현상으로, 외부의 영향으로 수요가 억제됐다가 그 요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