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원자재 통화

[commodity currency]

원유와 철광석, 금, 구리 등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한 통화를 일컫는 용어다. 원자재 수출이 경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노르웨이, 러시아 등의 통화가 이에 속한다.

이들 국가들은 원자재값 하락이나 달러 강세와 같은 요인에 의해 경기의 움직임이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해당국의 통화가치가 큰 타격을 입는다.

2014년의 경우 서유럽 최대 산유국인 노르웨이는 통화가치가 미 달러화 대비 19% 하락했다. 선진국 화폐 중 가장 큰 낙폭이다. 유로화에 대한 노르웨이 크로네 가치는 2009년 중반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요 원자재 수출국인 캐나다와 호주의 화폐 가치도 미 달러화 대비 각각 8.5%, 9.3% 하락했고 뉴질랜드 달러는 5.8% 떨어졌다. 원자재 수출로 나라 살림을 꾸려온 신흥국은 더 큰 타격을 입었다. 서방 국가의 제재와 유가 하락이 맞물린 러시아 루블화 가치는 올 들어 달러 대비 41% 급락했다. 칠레 페소화는 14%, 브라질 헤알화는 11% 떨어졌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 가치도 9% 하락했다.

  • 익스폴르딩 ARM[exploding ARM]

    2007년 미국에서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 파동으로 생긴 용어. 채무자가 조만간 지불할 수 ...

  • 유해조세경쟁[Harmful Tax Competition]

    외국인투자에 대한 국가간 과도한 조세경쟁이 국제적 자본이동을 왜곡하고 각국의 재정기반을 잠...

  • 인재풀제

    지원자의 자료 및 회사의 인력충원계획을 모두 전산화해 인력충원이 필요할 때 별도의 절차없이...

  • 위장전입

    거주지를 실제로 옮기지 않고 주민등록법상 주소만 바꾸는 것을 말한다. 현재 살고 있는 곳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