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월호 참사

 

2014년 4월15일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가던 여객선 세월호가 다음 날인 4월 16일 전남 진도군 인근 바다에서 침몰한 사건. 수학여행 가던 안산 단원고 학생을 비롯해 탑승객 476명 가운데 304명의 사망자와 미수습자가 발생했다.

2014년 8월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국을 찾아 세월호 유가족을 직접 위로했다. 수습 과정에서 정부는 우왕좌왕했고 한국 사회는 ‘세월호 특별법’ 논란에 오랫동안 진통을 겪었다.

세월호를 버렸던 이준석 선장 등 선원 15명은 살인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됐다.

국민소득 3만달러 진입을 앞둔 국가에서 일어난 후진국형 사고였다. 속도에 매몰돼 원칙을 무시했던 한국의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업계 유착과 비리 원인으로 지적된 ‘관피아(관료+마피아)’ 논란에 정부는 진땀을 흘렸다. 2014년 11월11일 수색이 종료됐지만 9명은 생사가 확인되지 않았다.

2017년 3월 국회에서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가 출범했으며 4월11일 세월호가 육상으로 거치되고 난후 미수습자 수습작업이 이루어져 4명의 유해가 추가로 수습됨에 따라 미수습자 수는 5명으로 줄게 됐다.

선조위는 2018년 8월 6일 1년 4개월 간의 활동을 마무리하고, 세월호 참사의 원인을 분석한 종합보고서를 발표했다.
이후 2019년 3월18일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들이 2014년 7월 설치했던 천막 14동이 유가족들이 자진철거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설치된 지 4년8개월만에 철거됐다.

한편 천막이 있던 자리는 ‘기억·안전 전시공간’으로 조성돼 2019년 4월 12일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 사회적 현물이전

    국가가 국민에게 현물로 제공하는 의료와 교육, 보육 등 상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무상복지...

  • 생물의약품[biologicals]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의약품. 생물학적...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가 갑자기 올라가면 물가 역시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 스테가노그라피[Steganography]

    전달하려는 기밀 정보를 이미지 파일이나 MP3 파일 등에 암호화해서 숨기는 심층 암호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