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효수익률

 

채권수익률란 예금의 이자율과 비슷한 개념으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원금에 대한 비율로 나누어 환산했을 때의 수익률을 말한다. 즉 채권에 투자해 얻을 수 있는 투자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것이다. 실효수익률은 각 채권의 만기까지 총 수익률을 연복리 수익률로 환산한 수익률이다. 즉 일정 투자기간 중에 실제로 실현된 이자수입,이자의 재투자 수입과 자본수익의 합계액인 실현 총이익에 대한 매입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실효수익률 개념은 현금흐름이 동일하지 않은 금융자산간의 비교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투자결정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만기수익률은 연복리 월복리 등 이자산정방식에 따른 차이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어 실제 수익률을 가늠하기 어렵다. 하지만 실효수익률은 투자시점부터 만기까지의 총수익률을 연복리 수익률로 환산한 수익률이므로 각 채권의 실질 수익률을 비교하는데 좋은 지표로 활용된다.

  • 선박채권보험

    국내 조선업체가 제작하는 선박을 구입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해외 선주사가 발...

  • 사모대출펀드[private debt fund, PDF]

    투자자의 돈을 모아 모아 은행처럼 기업에 대출하거나 하이일드(고위험·고수익) 회사채 등에 ...

  • 상표표시제도

    주유소 등 석유판매업자가 그 영업장소에 특정 정유사의 상표 또는 상호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 사면권

    국가 원수가 형사소송법이나 그 밖의 형사법규에 의하지 아니하고 형 선고 효과 또는 공소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