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효수익률

 

채권수익률란 예금의 이자율과 비슷한 개념으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원금에 대한 비율로 나누어 환산했을 때의 수익률을 말한다. 즉 채권에 투자해 얻을 수 있는 투자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것이다. 실효수익률은 각 채권의 만기까지 총 수익률을 연복리 수익률로 환산한 수익률이다. 즉 일정 투자기간 중에 실제로 실현된 이자수입,이자의 재투자 수입과 자본수익의 합계액인 실현 총이익에 대한 매입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실효수익률 개념은 현금흐름이 동일하지 않은 금융자산간의 비교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투자결정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만기수익률은 연복리 월복리 등 이자산정방식에 따른 차이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어 실제 수익률을 가늠하기 어렵다. 하지만 실효수익률은 투자시점부터 만기까지의 총수익률을 연복리 수익률로 환산한 수익률이므로 각 채권의 실질 수익률을 비교하는데 좋은 지표로 활용된다.

  • 상황인식 컴퓨팅[context-aware computing]

    대화 상대의 상황이나 문맥을 파악하는 기술. 컴퓨터의 가상공간에서 현실의 상황을 정보화하고...

  • 승수이론[theory of multiplier]

    재정지출이 몇 배나 큰 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승수효과라고 부른다. 케인스는 불황에 ...

  • 스피드 팩토리

    독일 스포츠웨어 기업인 아디다스와 독일 정부, 아헨공대가 3년 이상 심혈을 기울여 독일 ...

  • 슈퍼 하이웨이[super highway]

    슈퍼 하이웨이는 기존의 동축 케이블 대신 각종 정보의 전달능력이 월등히 뛰어난 광케이블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