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교역조건지수
[所得交易條件指數]수출 금액으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순상품 교역조건에 수출수량지수를 곱하여 ‘(수출단가지수/수입단가지수)×수출수량지수’ 산출한다.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상승하였다면 비교 시점의 수출총액으로 기준 시점보다 더 많은 양을 수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순상품 교역조건과 소득교역조건을 동시에 작성함으로써 수출입 상품의 가격 변화뿐만 아니라수출물량의 변화에 의한 유리함과 불리함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소득불평등 지표
지니계수, 십분위분배율, 로렌츠곡선, 역U자형가설은 모두 소득불평등과 관련된 경제용어다. ...
-
소비자안전지수
소비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시책의 일환으로 재정경제부가 2003년부터 추진중인 지수. ...
-
스마드족[SMAD]
각종 정보를 입수해 똑똑하게 물건을 구입하는 ''스마트(smart)족''과 시간이나 장소에...
-
수탁·위탁거래 납품대금조정협의제
납품대금 분쟁을 미리 조정하기 위해 도입하는 제도다. 중소기업이 인건비 재료비 경비 등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