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유형 모기지

 

주택 구입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의 대출 상품 중 하나. 금리가 1~2%대로 낮으며 수익 공유형과 손익 공유형으로 나뉜다.
공유형 모기지란 전용면적 85㎡ 이하이면서 6억원 이하인 아파트를 살 때 1∼2%의 싼 이자로 빌려주는 자금을 말한다.

주택을 팔거나 대출 만기 때 주택 가격의 등락에 따른 손실이나 이익을 금융기관이나 국민주택기금과 나누기 때문에 ''공유형''이란 이름이 붙었다.

수익 공유형은 금리가 연 1.5%다. 손익 공유형은 최초 5년간은 금리가 연 1%이고 이후엔 연 2%다. 둘 다 고정금리다.
한편 수익형 모기지 상품은 최대 2억원 한도 내에서 집값의 70%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손익형은 집값의 40%까지만 대출이 이뤄지기 때문에 나머지 자금은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관련어

  • 가중평균금리

    금융기관의 실제 여수신금리 동향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 시중 실세금리와는 다른 개...

  • 공장총량제

    국토교통부 장관이 서울 인천 경기 등 3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3년마다 한 번씩 공장 신...

  • 광전도성[photoconductive]

    광전도성은 물질이 가시광선과 적외선, 자외선, 감마선 같은 전자기선의 흡수에 의해 전도성을...

  • 가중다수결[加重多數決, qualified majority voting, qualified majority]

    유럽연합(EU)에서 입법권 , 예산권 , 협정 체결권을 가지고 있는 각료이사회의 의사결정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