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삼각주식교환

 

자회사가 타사를 완전자회사(100% 손자회사)로 삼는 주식교환을 할 때 해당 완전자회사에 모회사 주식을 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모회사와 자회사로 구분된 A-a사가 B사를 공동 인수한다고 가정해 보자. A의 자회사 a는 B와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을 맺는다. 그 뒤 a는 B의 주주에게 모회사인 A의 주식을, B의 주주는 a에게 B의 주식을 준다. 그러면 B의 주주는 A의 주주가 되고 B는 a의 자회사, 즉 A의 손자회사가 된다. 이처럼 인수대상회사가 손자회사가 되면서 그 대가로 모회사 주식을 인수대상회사 주주에게 주는 것을 일컫는다.

관련어

  • 슈퍼 태풍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에 따르면 ‘슈퍼 태풍’은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초속 67...

  •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CAP, CAP]

    코스피200, 코스피100, KRX300 등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에서 지수 구성 종목 중 ...

  •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renewable fuel standard, RFS]

    휘발유·경유에 바이오에너지를 의무적으로 혼합해 사용하도록 한 제도. 정부는 2006년...

  • 선행의 역설[Kind act''s paradox]

    선행의 목적으로 행동한 것이 도리어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