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운송사업자들이 보유 차량의 20%에 해당하는 차량(최대 50대)의 차내 공기질을 1년에 한 번 이상씩 측정해 보고하도록 하는 규칙. 시외·고속버스, 고속철도 등 실내공기를 청결하게 관리한다는 취지에 따라 2020년 4월부처 시행에 들어갔다.

환경부는 공기질 측정을 요구하며 전문 대행업체에 맡기거나, 운송사업자가 기계를 구매한 뒤 자체적으로 측정해 보고할 것을 주문했다.

차내 공기질 측정은 차량이 출발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5분 간격으로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기록·통계 처리하는 방식으로, 상당한 수준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당연히 비용도 비싸다. 전문 대행업체를 통해 측정을 의뢰할 경우 차량당 2시간 측정에 40만~50만원의 비용이 든다. 대부분 업체가 측정해야 하는 기준인 50대로 보면 업체당 2500만원가량의 비용이 발생하는 셈이다.

  • 스노볼[snowball]

    1. 원ㆍ달러 환율이 오를수록 손해를 보는 통화옵션 상품의 일종. 키코는 계약 시점부터 만...

  • 선철[銑鐵, pig iron]

    용광로에서 만든 고탄소철. 무쇠라고도 한다. 탄소 함유량이 1.7~4.5%다. 철의 원료인...

  • 산업협력[industrial cooperation]

    국내방위산업과 해외 방위산업간의 중장기 적인 대규모 협력을 의미한다. 2018년 6월...

  • 세계스마트시티기구[World Smart Sustainable Cities Organization, WeGO]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는 ICT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시티 및 전자정부 분야의 교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