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콩도르세 역설

[Condorcet’s paradox]

프랑스 대혁명시대의 정치가이자 수학자인 콩도르세가 다수결이 만능이 아니라는 점을 입증하려 한 논리다. ‘투표의 역설(voting paradox)’이라고도 불리는 콩도르세의 역설은 최다득표제가 유권자의 선호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한 유권자가 A를 B보다 선호하고(A>B), B를 C보다 선호할 경우(B>C), A를 C보다 좋아해야 한다(A>C). 하지만 최다득표제하에서는 이 같은 선호 이행성에 위배되는 결과(C>A)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 다수결을 통한 투표가 구성원의 선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마디로 다수결에도 큰 함정이 있다는 것이다.

  • 커버드 콜 전략

    주식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해 ‘옵션 프리미엄(옵션 가격)’을 안정적으로 얻는 ...

  • 크롤링[crawaling]

    웹페이지의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준류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크롤러(crawler)라는 ...

  • 코스닥 시장[KOSDAQ]

    1996년 7월 미국 나스닥(NASDAQ)을 본떠 만든 국내 주식 장외시장. 최근 벤처기업...

  • 킥 스타터[Kick Starter]

    2009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킥스타터는 개인이나 기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