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도르세 역설
[Condorcet’s paradox]프랑스 대혁명시대의 정치가이자 수학자인 콩도르세가 다수결이 만능이 아니라는 점을 입증하려 한 논리다. ‘투표의 역설(voting paradox)’이라고도 불리는 콩도르세의 역설은 최다득표제가 유권자의 선호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한 유권자가 A를 B보다 선호하고(A>B), B를 C보다 선호할 경우(B>C), A를 C보다 좋아해야 한다(A>C). 하지만 최다득표제하에서는 이 같은 선호 이행성에 위배되는 결과(C>A)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 다수결을 통한 투표가 구성원의 선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마디로 다수결에도 큰 함정이 있다는 것이다.
-
콜연계 수익증권 계약
투신사가 증권사에 콜자금을 빌려주고 증권사는 이 돈으로 투신사의 수익증권을 매입하는 거래방...
-
코스트 애버리징[cost averaging]
평균 매입단가 하락.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어 펀드 내 ...
-
케이블 배터리[cable battery]
전선처럼 감을 수 있는 특성의 배터리. 구부리고 감거나 매듭을 묶을 수 있어 몸에 휴대하는...
-
키친 캐비넷[kitchen cabinet]
미국에서 대통령이나 주지사 등의 사설 고문단을 일컫는 말. 대통령의 식사에 초청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