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재해보상보험

 

사회보험의 하나로 노동기준법에 의하여 고용주가 가지고 있는 재해보상책임을 보험화한 것이다.
산재보험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964년부터 시행되었다. 이보험의 급여 종류에는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애급여, 유족급여, 유족특별급여, 장제급여, 일시급여가 있다. 보험료는 사업주가 전담하도록 되어 있으며 보험계약자가 경영하는 사업의 임금 총액에 동종의 사업에 적용되는 보험요율을 곱한 금액으로 산정된다.

  • 수소전문기업

    총 매출액중 수소사업 관련 매출액 또는 투자금액 비중이 일정 기간 이상인 기업. 정부는 이...

  • 사모사채[privately placed bonds]

    기업이 은행이나 증권사 등 기관투자가나 특정 개인에 대해 개별적 접촉을 통해 매각하는 채권...

  • 사회책임투자원칙[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

    2006년 4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유엔 사무총장인 코피 아난과 네덜란드공무원연금(ABP),...

  • 수출통제규정[Export Administration Regulation, EAR]

    미국이 잠재적 적성국가나 테러 후원국 등에 첨단 기술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위해 미국산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