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연관표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1년간 국민경제내에서 일어난 재화와 서비스의 모든 거래를 나타낸 표로 산업간 거래 및 산업부문과 최종 수요와의 거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산업부문간의 상호의존관계 등 국민경제 구조를 총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경제구조 분석은 물론 경제정책의 파급효과, 생산 및 배분구조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또 경제예측이나 국민총생산(GNP) 통계 등 국민계정의 기초자료가 되기도 한다. 산업연관표에는 일정기간 동안 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직접 관련된 거래만 기록한다. 따라서 소득의 이전,대출금, 전도금, 채권매매 등 금융거래는 기록대상에서 제외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1960년 최초로 작성한 이래 5년마다 한번씩 발표하고 있다.

  • 슈퍼 다운 사이클[super down cycle]

    원자재 가격의 장기 하락 추세를 뜻하는 말. 크레디트스위스는 2014년 11월 21일 “글...

  • 쇼군본드[shogun bond]

    외국기업이 일본에서 엔화가 아닌 다른 통화로 발행하는 채권. 엔화 표시로 채권을 발행하면 ...

  • 소득정책[incomes policy]

    총수요를 줄이지 않고도 물가상승을 억제해 보려는 각종 정책을 일반적으로 소득정책이라고 한다...

  • 신디케이트 론[syndicated loan]

    둘 이상의 복수 금융기관이 공통의 조건으로 기업에 자금을 융자하는 대출 방법. 기업의 소요...